지난 포스팅에서 잠깐 언급했듯 안드로이드 개발용 에뮬레이터는 그 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프로그래머의 정신건강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스마트폰이 없다면 테스팅하기가 매우 불편했지만, 한가지 해결책이 있긴 있다.
바로 안드로이드 x86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가상머신에서 안드로이드를 돌리는것!
가상머신은 무엇인가? 사용자 컴퓨터의 자원을 할당하여 컴퓨터안에 새로운 컴퓨터를 하나 만들어 내는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Windows 7의 상위 버전에서 지원하는 Windows XP 모드가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굳이 파티션을 나누고 따로 포맷을 하지 않고도 새로운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구동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의 커널 수정이나 불완전한 소프트웨어의 테스팅 등 운영체제 부분에 해가 갈 수 있는 작업을 할 때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가상머신 솔루션 중 무료로 제공되는 VMware player 버전을 다운받는 페이지이다. 네모난 박스 안의 다운로드 버튼을 누른다.
<Figure 3. Next page>
마찬가지로 다운로드를 누르면 로그인을 하라는 페이지가 뜰 것이다. 아이디가 있다면 로그인을 하고, 없다면 회원가입 후 진행한다.
로그인을 한 뒤 진행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뜬다.
<Figure 4. Version select>
본인의 환경인 Windows에 맞는 곳에 네모칸을 쳐놓았다. 자신의 환경에 맞는것을 다운받으면 되겠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VMware를 설치한다. 여타 프로그램들처럼 인스톨하면 된다.
VMware player를 설치하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Figure 5. VMware 실행모습>
이미 깔아놓고 사용중인 운영체제가 있는관계로 왼쪽편에 'a'와 'Linuxmint'가 깔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화면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누른다.
<Figure 6. disc image file select>
1단계에서 다운로드 받은 Android iso파일을 지정해준다.
<Figure 7. Name, location setup>
가상머신의 이름과 사용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지정한다. 마음대로 정하면 된다.
<Figure 8. Disk setup>
안드로이드가 사용할 디스크 공간과 file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기본값으로 설정하는것을 권장한다.
<Figure 9. Hardware customize>
기타 하드웨어를 설정해 줄 수 있는 부분이다. Customize Hardware...을 눌러 세팅으로 들어간다.
<Figure 10. Detail>
자신의 PC환경에 맞게 하드웨어 자원을 얼마나 나눠줄 지 결정하는 부분이다. RAM과 Processor core 개수 정도를 수정한 다음 사용하지 않는 디바이스인 플로피 디스켓은 선택하여 제거해준다.
<Figure 11. 안드로이드 설치화면>
설정이 끝나면 다음과 같은 설치화면을 볼 수 있다. 맨 아래의 메뉴로 진입한다.
<Figure 12. Partition setup>
안드로이드가 설치될 가상머신의 파티션을 잡아주어야 한다. 첫번째 메뉴로 진입한다.
<Figure 13. Partition setting detail>
기본값으로 둔 8GB 용량이 우측 사이즈에 표시되고 있다. 아래 메뉴에서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New - Primary - Size: Maximum (in this case, 8587.19)
<Figure 14. 파티션 생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위의 과정을 잘 따라왔다면 이와같은 화면을 볼 수 있을것이다. 메뉴의 Bootable에서 엔터, 맨 끝의 Write에서 역시 엔터.
Write로 들어가면 파티션을 쓸것이며 이로인해 파괴되는 자료는 복구할 수 없고 하는 내용의 경고가 뜬다. YES를 입력하고 엔터쳐주고, 과정이 끝나면 Quit로 빠져나온다.
<Figure 15. 결과물>
<Figure 16. 파티션이 잡힌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맨위의 메뉴로 진입하면 본격적으로 안드로이드 설치가 진행된다. 다음의 순서에 따라 진행한다.
File System Format : ext3
Boot loader Install : Yes
/system directory ReadWrite toggle : Yes
설치후 나오는 메뉴에서 Create Fake SD card 진입, 용량은 맥시멈으로 설정
재부팅
<Figure 17. Bootloader GRUB 진입화면>
이제 가상머신에 안드로이드가 설치되었다. 맨 위의 메뉴는 고해상도 버전, 가운데는 조금 저해상도, 마지막은 디버깅모드로 부팅이다. 맨 위의 고해상도 버전으로 들어간다.